부동산 취등록세 계산기 자동계산

    부동산 취등록세 계산기 자동계산

    아파트나 주택, 토지 등의 매물을 계약하게 되면 가장 먼저 취득 가치에 대한 세금을 납부하게 됩니다. 이 세금을 취등록세라고 합니다. 세금이 종류도 워낙 많다 보니 부동산 계약 등을 하시게 될 경우, 기본적으로 여러 가지 세금 등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이런 세금에 대한 기본 지식과 준비를 미리 하셔야 합니다. 오늘은 그중에서 매물을 취득하였을 때, 가장 기본적인 세금인 부동산 취등록세 계산기를 이용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부동산 취득세는 과세대상 물건을 취득한 경우 납부하는 지방세로 과세물건을 취득한 날로부터 60일이내(상속은 상속개시일이 속하는 달의 말부터 6월 또는 9월)에 시/군/구청 세무과에 신고 납부를 하셔야 합니다. 

    만약 신고 납부를 하지 않을 경우는 어떻게 될까요?

    신고 납부를 하지 않을 경우, 20%의 신고불성실가산세와 1일 0.025%의 납부불성실 가산세가 가산되어서 부과 되니, 꼭 기한 내에 신고/납부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마저도 만약 납부를 안 하실 경우, 우편으로 독촉장이 날아오며, 그 이후는 가압류 경고 1회 이후 해당 기간 내에도 납부를 하시지 않으시면 바로 재산 압류가 집행됩니다!

    부동산 취득세 세율

    2020년부터 정부가 6억원 초과~9억원 이하 주택에 대해서 취득세율을 세분화했습니다. 한마디로 주택 실거래 가격을 줄여서 신고해 취득세를 낮추는 꼼수를 막기 위한 조치라고 보시면 됩니다. 자세한 취득세율표는 아래 표를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표를 보시면, 6억원 이하 주택에서는 1%, 6억원 초과 9억원 이하에서는 2%, 9억원 초과는 3%의 취득세율이 적용되고 있고, 기존과 다른부분은 6억원 초과~9억원 이하 주택의 취득세율을 기존 2%에서 1~3%로 세분화를 했습니다. 

    부동산 취득세율표

    이제 본격적으로 부동산 취등록세 계산기를 이용해서 취득세 계산을 한번 해볼까요?

    계산기를 이용하지 않으면 산출하기가 복잡합니다. 부동산 취등록세 계산기를 활용하시면 자동으로 편하게 산출하실 수가 있습니다.

     

    부동산 취등록세 계산기

    부동산 취등록세 계산기를 이용해 계산을 진행해 볼텐데요, "위택스"가 아무래도 공신력이 있는 사이트이다 보니 저는 위택스를 많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검색창에 "위택스"입력하시고, 아래 위택스 사이트를 클릭합니다.

    위택스 메인홈페이지에서 상단 오른쪽 메뉴 선택창을 클릭하시면, 오른쪽 사진에서와 같이 메뉴가 나오는데, 여기서 "지방세 미리 계산해보기"를 클릭합니다.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고, 여기서 취등록세 계산을 진행해 주시면 됩니다.

    부동산 취등록세 계산기 화면

    예를 들어 부동산 5억원에 대한 취등록세 계산을 한번 해보겠습니다.

     

     

    취등록 원인란에는 유상취득(농지/농지외) 두 가지 매물 종류 선택을 하실 수가 있는데, 취득자산이 농지인 경우에는 농지를 선택하시면 되고, 아파트/빌라/상가 등의 주택인 경우에는 농지외를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 입력란에 입력을 하시고, "세액 미리 계산하기"를 클릭하시면 자동적으로 취득세가 계산되어서 나타납니다.

    유상취득으로 6억원 이하의 주택이니 취득세가 1%가 적용이 되어서 500만 원의 취득세가 나오고, 거기에 10% 지방교육세 50만 원이 나옵니다. 그럼 세액 총합계는 550만 원이 나오게 됩니다. 간단하죠?

    그럼 이제 다른 계산을 적용을 해볼껀데요, 올해 4주택 이상 취등록세가 개정되어서 4주택이상인 분들은 세금 부담이 많아졌습니다. 매물 6억5천만원 4주택이상에 체크를 하고 한번 계산을 진행해 보겠습니다.

    일단, 취득세율을 보시면 처음 계산 예시보다 4주택이상인 분들은 취득세율이 4%나 발생을 합니다. 6억5천 매물에 대한 취득세만 4%가 적용이 되어서, 2천6백만원이 나옵니다. 여기에 10% 지방교육세 260만원 추가하면, 세액 총합계는 28,600,000원이 나옵니다. 4주택이상인 분들은 그만큼 세금 부담이 많아져서, 세금도 엄청나게 나오네요.

    이제 9억원 초과 매물에 대해서 계산을 한번 해보겠습니다. 일단 10억으로 매물 설정하고 계산을 진행해 보면, 9억원 초과 부동산에 대해서는 약 3%의 취득세가 발생한다고 했습니다. 그럼, 10억의 부동산에 대한 취득세는 3천만 원이 발생을 하고, 10% 지방교육세는 3백만이 발생합니다. 그럼 세금 총합계는 33,000,000원이 나오게 됩니다.

    오늘 이렇게 부동산 취등록세 계산기를 이용해서 간편하게 취등록세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취등록세 계산기를 이용하시면 복잡한 부가세나 세율 등의 산출없이도 편하게 계산을 진행하실 수가 있으니, 부동산 구매하실 때 이용해 보시면 수익률 계산하시는데 많은 도움이 되실 거라 생각합니다. 끝.

     

    부동산 경매

    부동산 경매 이번 시간에는 부동산 경매에 대한 간단한 정의와 실제 부동산 경매에 쓰이고 있는 용어들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그럼 시작해 볼까요? 부동산 경매란? 부동산 경매만큼 

    www.jkgloria.com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지대장 무료열람 매뉴얼  (0) 2020.08.16
    지적도 무료열람 방법 2가지  (0) 2020.08.15
    경매개시결정문 송달  (0) 2020.07.26
    경매의 방식  (0) 2020.07.25
    토지 경매를 위한 검토 사항  (0) 2020.07.21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